티스토리 뷰

올리버영화는 19세기에 영국의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제작된 영화로 주인공 어린아이 올리버가 헤쳐나가는 역경을 보여주는 이야기입니다. 

주인공 올리버
주인공 올리버

올리버 영화 멜로디

영화 올리버는 1968년 감독 "캐럴 리드"가 영국에서 제작된 영화입니다. 모든 연령대가 시청가능한 뮤지컬영화 올리버는 찰스 디킨스의 "올리버 트위스트"의 소설을  원작으로 만든 영화입니다. 이 소설은 빅토리아 시대 런던의 암울한 현실을 생생하게 묘사하며 어린 주인공이 이 시대를 헤쳐나가는 이야기를 중심이 되어 있습니다.  영화 "올리버"는 풍부한 캐릭터 구성으로 이 이야기를 환상적으로 재현해 내고 있습니다. 영리하고 매력적인 패긴부터 순진하고 사랑스러운 올리버까지 각 각의 캐릭터는 이 내러티브에 깊이의 차원을 더해 줍니다. 패긴의 일당 아트풀 도저와 같은 잊지 못할 개성 있는 인물들은 사람들의 재미를 더 하기 위해 장난기 있는 재치를 보여주고, 낸시와 빌 사이크 같은 캐릭터들은 사람들에게 긴장감을 느끼게 해 줍니다. 이 영화의 대표적인 음악으로는 라이오넬 바트가 작곡한 "Consider  Yourself"의 밝은 멜로디부터 "As Long as Hs NeedsMe"의 감동적인 톤까지 또한 안무, 음악편곡, 배우들의 훌륭한 연기 이 모든 것들이 잘 어우러져 이 음악들을  더욱 빛나게 만들어 주며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는 영화로 만들어졌습니다. 

줄거리 

영화는 영국의 한 어두침침하고 지저분한 고아원에서 수많은 아이들이 모여 죽을 먹고 있다. 말이 죽이지 물에 가까운 죽은 아이들에 허기를 채우기엔 너무나 부족하였다. 아이들은 죽 한 그릇을 더 먹어보기 위해 제비 뽑기를 하게 되고 올리버가 제비에 뽑혀 원장에게 죽을 더 달라고 한다. 이 일로 화가 난 원장은 올리버를 다른 사람에게 돈을 받고 보내 버린다. 장의사에게 보내 진 올리버는 거기에서도 사람들의 괴롭힘을 당하며 결국은 런던으로 도망을 가게 된다. 런던에 도착한 올리버는 모든 것이 신기하다. 갈 곳이 없는 올리버는 이곳저곳을 두리번거리다가 허름한 옷에 큰 모자를 쓴 우스꽝스러운 모습을 한 도둑 소년 도저를 만나게 된다. 도저는 올리버를 패긴에게 데려간다. 거리의 사람들은 큰 고깃덩어리를 자르고 빵을 운반하지만 어린이들은 굴뚝에서 청소를 하고 짐을 옮길 뿐이다. 모든 아이들이 지저분한 모습으로 거리에서 일을 하거나 배회를 하고 있다. 패긴의 무리에 도착한 올리버는 소매치기 교육을 받고 잠자리에 든다. 다음 날 올리버는 소매치기의 영웅 빌의 여자친구와 낸시를 만나게 되는데 둘은 금방 친해지게 된다. 소매치기 교육을 받은 올리버는 도저와 아이들을 따라나선다. 거리로 나온 아이들은 소매치기할 대상자를 물색한다. 아이들은 가로등 아래 시계를 보며 서 있는 브라운 씨의 지갑을 훔치는데 뒤에 서 있던 올리버가 의심을 사게 되고 현장에서 붙잡혀 법정에 끌려간다. 그러나 브라운 씨의 증언으로 올리버는 풀려나고 왠지 떠나간 자기 조카랑 비슷한 외모를 가진 올리브에게 정을 느낀 브라운 씨는 집으러 데려가 같이 지내게 된다. 올리버는 깨끗하고 따뜻한 집에서 지내는 것이 너무나 행복함을 느꼈다. 그러나 이 사건으로 올리버가 자신들의 이야기를 할까 봐 걱정하는 무리 패긴과 빌 사이크스가 있었다. 빌은 낸시를 시켜 올리버를 데려오게 한다. 낸시는 브라운에게 올리버를 다시 돌려보내겠다고 약속을 하고 올리버를 데려온다.  돌아온 올리버는 브라운의 집을 털자는 빌의 음모를 알게 되고 빌의 협박에 어쩔 수 없이 동참하게 된다. 하지만 올리버의 실수로 빌의 음모는 실패하게 되고 빌을 끌고 다시 돌아오게 된다. 낸시는 브라운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 올리버를 데리고 도망간다. 그러나 이를 알아차린 빌이 그들을 뒤쫓아가 낸시를 죽이고 만다. 이 모습을 목격한 올리버는 두려움에 벗어나지 못하고 빌에게 끌려 다닌다. 빌은 이리저리 도망 다니다가 결국은 경찰의 총격으로 죽게 되고 패긴과 도저도 도시를 떠나게 된다. 

마지막 평가

올리버 영화의 장면 중에서는 아이들의 노역하는 모습과 빈부의 격차를 알 수 있습니다. 영화의 장면 중에 가장 인상 깊은 장면은 아이들이 물에 방아 위에서 맨발로 물레를 돌리는 장면이 있습니다. 이 장면에서는 그 시대의 산업화 방식이 바뀌고 있다는 것을 암시함과 동시에 아이들이 어떤 사회에서 살고 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또한 올리버가 살고 있던 고아원의 식사는 차마 사람이 먹을 수 없는 음식인 반면 그곳을 운영하는 간부들의 식사는 기름진 고기와 맛난 음식들로 가득한 성찬이었습니다. 올리브가 살게 되는 템스강 남쪽 빈민가의 허름한 풍경과 브라운 씨가 살고 있는 북쪽에 있는 부유층 지역의 환경을 보았을 때 심각한 빈부의 격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작품을 제작한 캐럴 리드 감독은 이 시대의 사회적 갈등을 그려 내지만 음악, 춤, 캐릭터들을 통해 이야기의 원작보다는 관객들에게 부드럽게 이야기를 전달해 주는 것 같습니다. 이 영화로 오스카 감독상이라는 영광을 안게 되었습니다. 저는 이 영화를 보고 나서 아직도 가슴에 그 당시 10살의 주인공 마크 레스터의 얼굴에서 두려움, 행복함을 나타내는 훌륭한 연기가 남아 있습니다.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